목록스피노자 (3)
철학오피스
4월 테제와 맑스주의의 위기 -- 임필수씨에게 답함 임필수씨는 이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러시아혁명에서 레닌의 혁명적 기여는 바로 였다. (이는 으로 이론화된다.) 는 러시아에서 활동하는 볼세비키 일부에 반대하여 이중권력 상황에서 소비에트(평의회)와 공장위원회를 지지함으로써 혁명운동의 결정적 전기를 마련했다. (“코뮨의 도입이 시기상조라는 주장은 농노해방이 시기상조라는 농노소유자들의 주장과 같다.”) 그러나 훗날 레닌과 볼세비키는 소비에트를 당에 종속시키고, 공장위원회의 권력을 점진적으로 제한하면서 엄격한 생산관리라는 관점에서 노동조합을 통한 국가의 노동력관리라는 접근법에 가까워지면서, 노동자 자주관리의 이상과 멀어져갔다. 따라서 러시아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은 레닌이 4월 테제로부터 멀어져 ..
알튀세르의 ‘최종심급’ 개념 (1999) 처음부터 끝까지 ‘최종심급’이라는 고독한 시간은 오지 않는다. - 루이 알튀세르 (1993: 113) “사슬은 그것의 가장 약한 고리만큼만 강하다” 라고 알튀세르는 썼다 (1993: 94). 그리고 여기, 그가 읽고 경의를 표한 이론가들, 스피노자, 맑스, 프로이트와 또 다른 이론가들로부터 그가 목도한 바로 그 이론적인 침묵 속으로 그를 잡아당기면서 알튀세르 자신을 휘감는 사슬이 있다. 그것은 한쪽 끝이 구조주의이고 다른 한쪽 끝이 포스트-구조주의인 철학적 공격의 사슬이다. 그러므로, 사슬을 끊고 그에게 고유한 자신의 장소를 돌려주기 위해서 우리는 그 사슬의 가장 약한 고리, 즉 모든 논쟁의 모순들이 전이되고 축적되는 그 고리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 사슬은..
2009년 2월 14일자 한겨레 신문 '21세기 진보지식인 지도'에 실렸던 글(편집이전본)입니다. 에티엔 발리바르 - 1942년 프랑스 아발롱에서 태어나 파리고등사범학교에서 루이 알튀세르를 사사하고, 네이메헨대학(네덜란드)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1년에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나, 1981년에 당의 보수적인 이주노동자 정책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축출된다. 현재 파리 10대학 명예교수이자 미국 어바인대학 교수다. 이데올로기, 국가, 시민권 문제 등을 이론화할 수 없는 마르크스주의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80년대부터 대중들의 교통양식에 대한 스피노자의 논의를 적극 수용했다. 이를 기반으로, 해방과 변혁이라는 근대 정치의 두 가지 상에 동일성들과 경계들의 폭력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인륜(civ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