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맑스 (8)
철학오피스

십수 년 전에 거의 다 번역해 놨었지만 잊고 있다 컴퓨터에서 발견하고 최근 마무리 지었습니다. 1982년에 출판된 글이니 아주 오래된 글이죠. 특히 마지막 결론 부분은 발리바르의 입장이 변했을 것입니다. 여기서는 국가권력장악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최근의 에서는 명시적으로 국가권력장악은 국가주의적인 사고라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이런 점을 고려해서 읽으시길 바랍니다. 바쿠닌주의 에티엔 발리바르 (번역: 최 원) * 『맑스주의 고증사전 Dictionnaire critique du marxisme』, eds. Labica-Bensussan, PUF, 1982, pp. 85-91. (프루동주의자들과 계속된 논쟁을 제외하면) 1868년 이전에 아나키즘 문제는 맑스와 맑스주의에게 단지 부차적 중요성만을 갖는다..

사이토에 따르면, 말년의 맑스가 러시아에 대해 쓴 텍스트는 그의 생태주의적 관점을 명확히 드러낸다고 한다. 여기 번역해 올리는 공산주의 선언의 러시아판 서문은 러시아가 자본주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공산주의로 나아갈 수 있다는 주장이 담겨있다고 알려져 있는 텍스트다(이는 과거에 1980년대 말 한국의 사구체 논쟁 당시에 이미 논의가 된 바도 있다). 그리고 사이토는 이를 생태주의적 관점에서 본 것이다. 잔뜩 기대를 하며 읽어봤지만, 사이토가 얼마간 자의적으로 읽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이 텍스트 외에 러시아의 자술리치에게 맑스가 보낸 서신도 사이토가 비슷하게 논하는데, 검토해 봤지만 농촌 코뮌(사실 봉건제 붕괴 후에 1~2세기 정도 존재하다 대부분 붕괴했지만 러시아 등에서 살아남은 농촌 코뮌을 가리킨다)..

아래 올린 발리바르 인터뷰와 관련해서 일독해 봐야할 텍스트입니다. 십년도 더 전에 번역한 것이고 제 기억으로 에 실렸던 번역입니다만 자세한 서지 사항은 기억에 없군요. 오래전에 번역한 거라 제가 요즘 사용하는 번역용어들과 차이가 있을 테지만 그냥 그대로 올립니다. 정치의 종언인가, 종언 없는 정치인가? — 맑스와 “공산주의적 정치”의 아포리아 에티엔 발리바르 Etienne Balibar (번역: 최 원) * 2008년 12월 17일 수요일에 연구 집단 “넓은 의미에서의 철학”에서 발표한 이 발표문의 예전 판본은 칠레 산티아고에서 2008년 11월 26~28일에 열린 국제 콜로키움 “공산당 선언 160주년 맑스 사유의 재독해”(Universidad Diego Portales y Universidad Arc..
이 동영상도 2020년 가을학기에 단국대에서 강의한 동영상입니다. 맑스의 1845년의 인식론적 절단을 설명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제1부 포이어바흐로부터 www.youtube.com/watch?v=f4IX_rDmZY8 제2부 맑스로 www.youtube.com/watch?v=TMBy5-1bf7A
이 동영상은 단국대에서 2020년 가을학기에 강의한 '사회철학' 마지막 수업(온라인 비대면)의 동영상입니다. 제 1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약 40분) youtu.be/XsaqtXe_2oE 제 2부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의 의미 (약 1시간) youtu.be/mJxvz_6bfRY
9월 초에 나올 진보평론 가을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너무 짧지만 서문만 공개하겠습니다.^^ ------------------------------------------------- 멈춰진 세월, 멈춰진 국가 - 신자유주의적 통치성과 폭력의 새로운 형상 최 원 (건국대) 세월호가 침몰한지 20여일이 지나고 이미 구조에 대한 간절한 바람이 완전한 절망으로 바뀌었을 때, KBS의 김시곤 보도국장은, “세월호 사고는 300명이 한꺼번에 죽어서 많아 보이지만, 연간 교통사고로 죽는 사람 수를 생각하면 그리 많은 건 아니”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가 즉시 사람들의 공분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이후 이러한 ‘교통사고’ 담론은 아예 세월호 참사를 하나의 교통사고에 불과한 것으로 몰고나가기 위한 새누리당의 기본담론으로 채..
이 글은 진보평론 봄호에 실릴 글입니다. 여기 게시하는 글은 각주를 모두 생략하고 있는데, 이 글은 각주가 본문보다 더 중요한 글입니다. 게다가 이 글이 속해 있는 특집기획에는 푸코, 아감벤, 네그리, 랑시에르 등의 한국사회와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쫄깃한 글들이 실려 있습니다. 꼭 구매해주시와요^^----------------------------------- 한국 진보 운동 재구성의 몇몇 쟁점들: 발리바르의 관점을 중심으로 최원(건국대 HK연구교수) 이 글은 프랑스의 철학자(따라서 정치철학자) 에티엔 발리바르(Étienne Balibar)를 논하는 글이지만 그의 이론 전반에 대한 소개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특히 한국의 진보운동들이 마주하고 있는 몇몇 곤란한 문제들을 고민하는 데에 발리바르..
알튀세르의 ‘최종심급’ 개념 (1999) 처음부터 끝까지 ‘최종심급’이라는 고독한 시간은 오지 않는다. - 루이 알튀세르 (1993: 113) “사슬은 그것의 가장 약한 고리만큼만 강하다” 라고 알튀세르는 썼다 (1993: 94). 그리고 여기, 그가 읽고 경의를 표한 이론가들, 스피노자, 맑스, 프로이트와 또 다른 이론가들로부터 그가 목도한 바로 그 이론적인 침묵 속으로 그를 잡아당기면서 알튀세르 자신을 휘감는 사슬이 있다. 그것은 한쪽 끝이 구조주의이고 다른 한쪽 끝이 포스트-구조주의인 철학적 공격의 사슬이다. 그러므로, 사슬을 끊고 그에게 고유한 자신의 장소를 돌려주기 위해서 우리는 그 사슬의 가장 약한 고리, 즉 모든 논쟁의 모순들이 전이되고 축적되는 그 고리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 사슬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