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7)
철학오피스

이 글은 『문화과학』 84호(2015년 겨울)에 실렸던 글입니다. 앞서 공개한 (2019)와 함께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논의나 인용은 출판된 판본에 준거해 주시길 바랍니다. 표절에 대한 짧은 소회 최 원 20여 년 전에 문학과 약간의 인연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철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한 후 문학으로부터 줄곧 멀어지기만 해온 내가 문학계에서 벌어진 신경숙 작가의 표절을 둘러싼 논쟁에 말을 보탠다는 것은 솔직히 가당치도 않은 일이다. 게다가 나는 신경숙 작가에 대해서 아는 것이 전무하다시피하고, 당연히 이번에 논란이 된 작품을 비롯하여 신작가의 어떤 작품도 읽어본 적이 없다. 또한 나는 문학계 내에 형성되어 있는 작가 시스템에 대해서도 상세히 알고 있는 것이 없으며 그나마 알고 있는 것도 지난 『..

이 글은 2019년 봄호에 출판되었던 글입니다. 여기 공개하는 판본은 편집 이전 본이니, 논의나 인용은 출판본으로 해주시길 바랍니다. 예술의 비판 기능과 유희 기능의 종합을 위한 성찰 알튀세르와 블랑쇼를 중심으로 최 원(단국대) 이 글은 이른바 ‘정동 이론’을 비판하는 관점에서 예술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특히 예술의 비판 기능과 유희 기능의 종합이라는 오래된 난제에 어떻게 답할 수 있는가를 성찰해 보기 위한 글이다. {주1/ ‘정동 이론’에 대한 비판으로서 우리가 준거로 삼는 논의에 대해서는 최원 [‘정동 이론’ 비판: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과의 쟁점을 중심으로], {문화/ 과학} 통권86호(2016 여름)를 보라. 이 논문은 최원, 『라캉 또는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적 반역과 반폭력의 정치를 위하..

이 논문은 2021년 여름호에 출판될 예정입니다. 편집 이전 본이므로 인용이나 논의는 출판 본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탈구축과 구조주의 사이에서 - 데리다의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에서의 소쉬르 비판을 중심으로 - 최원(단국대) 1. 들어가며 1929년 스위스 다보스(Davos) 철학대회에서 벌어진 카시러(Ernst Cassirer)와의 논쟁에서 하이데거(Martin Heidegger)가 취했던 입장에 그 연원을 두고 있는 이른바 대륙철학(continental philosophy)은 현상학적일 뿐 아니라 감성학적/미학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었으며, (칸트적 용어법에 따르자면) ‘개념’에 대한 ‘직관’의 선차성, ‘자발성’에 대한 ‘수용성’의 선차성을 내세웠던 만큼 그것이 과학에 대한 거부감을 자체에 내..

버틀러의 선배들에 대한 이야긴데, 마찬가지로 작년 강의입니다. 이건 좀 짧습니다. 25분 정도. 버틀러의 맥락 이해를 위한 강의입니다. 앞으로 의 1장까지만 공개할 예정입니다. (동영상 비공개 상태 풀었습니다.) youtu.be/OZ7UC6IGyoE

동영상 강의 입니다. 코로나로 동영상을 많이 찍다보니 함께 하고픈 동영상이 생기네요. 작년 단국대에서 한 강의입니다. 50분정도 분량입니다. youtu.be/4LoIEABm7e8

이 글은 (고대 민족문화연구원)에 수년 전에 출판했던 글입니다. 중요한 각주들이 있지만 각주는 생략합니다. 논의나 인용은 에 실린 논문에 준거하시기 바랍니다. 민주주의적 시민권? - 발리바르의 민주주의론 - 최원 목 차 1. 민주주의적 시민권? 2. 평등자유: 이소노미아(isonomia), 아나키, 정치의 죽음 3. 근대 시민권의 두 국면 4. 주체 이후에 오는 것은 누구인가? 국문초록 이 논문의 목표는 평등자유명제라는 에티엔 발리바르의 최근 저서 및 몇몇 다른 텍스트에서 전개된 논의에 기초하여 ‘민주주의적 시민권’이라는 일견 자명해 보이는 관념이 가지고 있는 이율배반적 구조를 밝히고, 이로부터 민주주의와 시민권의 역사적 결합의 조건들을 사고해 보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이소노미아라는 용어가 고대 그리..

이 글은 에서 68혁명 50주년에 준 원고청탁으로 썼던 글입니다. 에는 다음과 같은 제목으로 실렸습니다.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 프랑스 68혁명 50년 5월 봉기의 ‘표면적 실패’ 뒤에도 68은 계속됐다 여기 제공하는 글은 편집 이전 본 입니다. 편집 과정에서는 많은 표현상의 사소한 교정들이 있었지만 제 호흡은 아니라 여기 편집 이전 본을 게시합니다. 하지만 이 글은 68혁명에 대한 저의 또 다른 글과 같이 읽으시길 권합니다. 에 실린 "구조는 거리에 나와 어떻게 되었나?"라는 글입니다. 50년 이후의 68혁명 최 원 1968년 5월 초 프랑스 낭테르 대학이 학생들과의 대립으로 학교를 폐쇄하자 이에 반발한 소르본 대학 학생들이 봉기했고, 이 봉기는 일파만파 프랑스 전역에서 학생들과 천만 노동자..

* 이 논문은 지 2017년 봄호에 출판된 논문입니다. 논의나 인용은 출판된 논문에 준거해서 해주시길 바랍니다. 좀비라는 알레고리의 이단점 최원 1. 들어가며 영어판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알레고리(allegory)라는 말은 고대 그리스어의 allegoría에서 온 말로, 그것은 ‘베일로 가려진 언어, 수사’를 뜻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allegoría라는 말 자체는 ‘또 다른, 차이가 나는’의 의미를 갖는 allos와 ‘집회에서 연설하다, 장광설을 늘어놓다’라는 의미를 갖는 agoreuo라는 상이한 두 말에서 유래했다고 하며, 다시 agoreuo라는 말은 ‘집회’(assembly)라는 의미를 갖는 agora에 곧바로 연결되어 있었다고 한다. 각주1) https://en.wikipedia.org/wiki..